아디팜정(히드록시진염산염) 대한민국 - 한국어 - MFDS (식품 의약품 안전부)

아디팜정(히드록시진염산염)

태극제약(주) - 황색의 원형의정제 - 이 약 1정(110밀리그램) 중 - 이 약 1정(110밀리그램) 중,히드록시진염산염,kp,10,밀리그램 - [117]정신신경용제

유시락스정25밀리그람(히드록시진염산염) 대한민국 - 한국어 - MFDS (식품 의약품 안전부)

유시락스정25밀리그람(히드록시진염산염)

한국유씨비제약(주) - 흰색의 원형정제 - 이 약 1 정 (150 mg) 중 - 이 약 1 정 (150 mg) 중,히드록시진염산염,usp,25,밀리그램 - [117]정신신경용제

유시락스정10밀리그램(히드록시진염산염) 대한민국 - 한국어 - MFDS (식품 의약품 안전부)

유시락스정10밀리그램(히드록시진염산염)

한국유씨비제약(주) - 흰색의 원형 정제 - 이 약 1 정 (130 mg) 중 - 이 약 1 정 (130 mg) 중,히드록시진염산염,usp,10,밀리그램 - [117]정신신경용제

로진정25밀리그람(히드록시진염산염) 대한민국 - 한국어 - MFDS (식품 의약품 안전부)

로진정25밀리그람(히드록시진염산염)

(주)한국파마 - 백색의 장방형 정제이다. - 1정(220밀리그램) 중 - 1정(220밀리그램) 중,히드록시진염산염,kp,25,밀리그램 - [117]정신신경용제

하이진정(히드록시진염산염)(수출명:히다락스정,필히다락스정)(수출용) 대한민국 - 한국어 - MFDS (식품 의약품 안전부)

하이진정(히드록시진염산염)(수출명:히다락스정,필히다락스정)(수출용)

대우제약(주) - 백색의 타원형 정제 - 1정(200밀리그램) 중 - 1정(200밀리그램) 중,히드록시진염산염,kp,25,밀리그램 - [117]정신신경용제

유록스시럽(히드록시진염산염) 대한민국 - 한국어 - MFDS (식품 의약품 안전부)

유록스시럽(히드록시진염산염)

한국콜마(주) - 무색 또는 미황색의 투명한 용액이 들어 있는 갈색병 - 이 약 100ml중 - 이 약 100ml중,히드록시진염산염,usp,200,밀리그램 - [117]정신신경용제

두드리진시럽(히드록시진염산염) 대한민국 - 한국어 - MFDS (식품 의약품 안전부)

두드리진시럽(히드록시진염산염)

삼아제약(주) - 무색 또는 미황색의 투명한 용액이 들어 있는 갈색병 - 이 약 100 ml 중 - 이 약 100 ml 중,히드록시진염산염,usp,200,밀리그램 - [117]정신신경용제

로진정25mg(히드록시진염산염)(수출용) 대한민국 - 한국어 - MFDS (식품 의약품 안전부)

로진정25mg(히드록시진염산염)(수출용)

korea pharma co., ltd. - hydroxyzine hydrochloride - 흰색의 장방형 정제 - 1정(220mg) 중 - 1정(220mg) 중,히드록시진염산염,bp,25,밀리그램 - [117]정신신경용제 - 1. 수술 후, 신경증에서의 불안, 긴장, 초조 2. 두드러기, 피부질환에 수반하는 가려움(습진, 피부염, 피부가려움증)

유록스시럽(히드록시진염산염)(수출명: Urox Syrup)(수출용) 대한민국 - 한국어 - MFDS (식품 의약품 안전부)

유록스시럽(히드록시진염산염)(수출명: urox syrup)(수출용)

genuone sciences inc. - hydroxyzine hydrochloride - 무색 또는 미황색의 투명한 용액이 들어 있는 갈색병 - 1. 수술 후, 신경증에서의 불안, 긴장, 초조 2. 두드러기, 피부질환에 수반하는 가려움(습진, 피부염, 피부가려움증)

아사톱장용정81mg(아스피린) 대한민국 - 한국어 - MFDS (식품 의약품 안전부)

아사톱장용정81mg(아스피린)

young poong pharmaceutical co., ltd. - aspirin - 분홍색 원형의 장용성필름코팅정 - 1정(150mg)중 - 1정(150mg)중,아스피린,kp,81,밀리그램 - [219]기타의 순환계용약 - 1) 다음 질환에서 혈전 생성 억제 · 심근경색 · 뇌경색 · 불안정형 협심증 2) 관상동맥 우회술(cabg) 또는 경피경관 관상동맥 성형술(ptca) 후 혈전 생성 억제 3) 고위험군환자(허혈성 심장질환의 가족력, 고혈압, 고콜레스테롤혈증, 비만, 당뇨 등 복합적 위험인자를 가진 환자)에서 심혈관계 위험성 감소